SAP/SD

determining a storage location during delivery processing : 납품에서 저장위치 자동 결정

장바바 2024. 2. 5. 13:36

 

 

SD certi 공부 중 아래의 문제의 정답을 찾다가 정리해보는 글.

 

When determining a storage location during delivery processing, the system uses a rule defined in which of the following?

  • A. Material
  • B. Outbound delivery type
  • C. Outbound delivery item category
  • D. Shipping point

 

1차적으로 납품과정에서 저장위치를 자동 결정하려면 아래의 세팅이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한다.

SPRO>물류실행>출하>납품>납품의 품목 범주 정의

 

그 후 피킹위치결정에 대한 규칙을 정의해준다.

SPRO>물류실행>출하>피킹>피킹 장소 결정>피킹위치결정에 대한 규칙 정의

 

여기서 납품유형 별로 저장위치 규칙을 세팅할 수 있는데, 저장위치 규칙은 [ MALA, RETA, MARE ] 3가지가 있다.

MALA: 출하지점, 플랜트, 저장조건으로 결정

RETA: 플랜트, 상황, 저장조건으로 결정

MARE: 처음에 MALA로 결정하고 MALA에 해당하는 세팅이 없으면 RETA로 결정, 만약 RETA도 없을 시 저장위치가 자동결정 되지 않음.

 

MALA - 출하지점, 플랜트, 저장조건으로 결정

출하지점이나 플랜트의 경우 보통 대부분 판매오더에서 자동으로 복사된다.

저장조건은 자재마스터의 플랜트 데이터/저장1 뷰에서 관리된다.

 

저장조건 정의는 SPRO>물류실행>출하>피킹>피킹 장소 결정>저장 조건 정의 에서 세팅할 수 있다.

 

납품생성 시 출하지점, 플랜트가 판매오더로부터 복사되고 자재마스터에 의한 저장조건을 통해 저장위치가 자동결정 된다.

출하지점, 플랜트, 저장조건 별 저장위치 세팅은 SPRO>물류실행>출하>피킹>피킹 장소 결정>피킹위치지정 에서 할 수 있다.

 

 

RETA - 플랜트, 상황, 저장조건으로 결정

먼저 상황에 대한 정의는 SPRO>물류실행>출하>피킹>피킹 장소 결정>상태정의 에 있다.

 

이렇게 정의 된 상황을 이용하여 플랜트, 상황, 저장조건을 기반으로 저장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.

SPRO>물류실행>출하>피킹>피킹 장소 결정>상황에 따라 저장위치결정

 

 

이미 판매오더에서 저장위치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납품 생성 시 판매오더의 저장위치가 복사되기 때문에 이 세팅이 수행되지 않는다.

* 이 모든 내용은 직접 테스트해본 게 아니고, 구글링 후 정리만 했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 한 내용은 아니다.

 

다시 certi 문제로 돌아가서 풀어보면 납품에서 저장위치를 결정할 때 저장위치 규칙(Rule)은 B. Outbound delivery type 에서 정의 되기 때문에 정답은 B가 된다. 

 

A. Material 은 MARE와 RETA 규칙에 저장조건을 제공

C. Outbound delivery item category 는 저장장소결정 사용여부를 세팅할 때

D. Shipping point는 MARE 규칙에서 사용

 

 

- 혹시 틀린 내용이 있을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:)